국민이 원하는 새 대통령은 ‘경제대통령’

추락한 민생경제 이끌 ‘경제 살리는 대통령’ 나와야

2012-07-11     최승호 기자

문제는 역시 경제다. 이번 18대 대선의 최대 핵심 화두 역시 ‘경제대통령’으로 귀결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에서는 ‘추락할 대로 추락한 경제를 살려 달라’는 국민의 염원이 어느 때보다 강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전문가들은 새 대통령이 이 같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외부 여건이 그 어느 때보다 불투명한 데다 내부적으로도 물가 급등, 금리 불안 및 소비 위축 가능성, 기업 투자 위축 등 악재가 산적해 있다.
 

전문가들은 새 대통령이 △성장동력 확충 △시장 친화적 정책기조 도입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투자 활성화 △정부 지출 억제 및 공공부문 개혁 등에 주력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와 관련, 모 경제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MB정부는 그동안 ‘대한민국 747 비전’을 핵심 전략으로 민생경제 챙기기와 비대한 공공 부문 개혁, 기업 투자 환경 조성 등을 추진해 왔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성장 잠재력은 떨어지고 성장동력 산업도 제대로 발굴하지 못했다”며 “이번 대선에서는 무엇보다 어려워진 민생 경제를 하루빨리 정상 궤도에 올리는 동시에 민간 부문과는 무관하게 방만하고 비대해질 대로 비대해진 공공 부문을 개혁해 낼 수 있는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새 대통령과 관련해 전경련의 한 관계자도 “우리나라의 역대 대통령 후보자들은 ‘7·4·7’이니 ‘줄·푸·세’ ‘실사구시’니 하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저마다 경제대통령을 자처했다”며 “이번 대선에서도 예외는 아니겠지만, 그래도 새 대통령은 역시 경제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실물 경제를 알고, 경제공부를 했다고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무역장벽이 빠르게 허물어지고 각종 대외 변수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이 시점에서 ‘세계 11위의 무역대국’을 이끌고 국민이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해줄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 동작구에서 자영업을 하는 김영식(58) 씨도 “국민 10명 중 8~9명은 경제대통령을 원하고 있을 것”이라 전제하고 “외환위기 이후 먹고 사는 일이 힘들고 살림살이가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상황에서 경제를 잘 아는 경제대통령이 나와 서민을 위한 정책을 펴 주었으면 한다”는 희망을 피력했다.
물론 경제대통령이 나온다 해도 경제가 살고 어려운 살림살이가 나아진다는 보장은 없다. 그렇다고 경제전문가이어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글로벌 시장경제를 알고 기업 경영 환경을 이해하면서, 미래를 보는 안목과 일반 국민의 고단한 삶을 살피는 따뜻한 정책을 일관성 있게 이끌어 가는 능력이 있으면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