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적 농식품안전성 및 독성규명분야 연구 선도하는 세계 Top Class 연구실
대한민국 기초과학의 기반을 다지는 우수 연구 성과 도출
‘2011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기초연구 부문 및 국가연구개발 100선 선정 쾌거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시스템 점막 바이오모듈레이션 연구실(문유석 교수 / 이하 연구실)은 식품 환경 인자에 노출되는 최전선으로 장관 점막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식품인자-장관유해환경인자-인체반응의 방어 작용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분자적 독성규명을 통하여 기전에 기반한 바이오모니터링법을 화학적 모니터링과 결합한 시스템적인 농식품 위해성 평가법을 개발하고 있다. 2011년 문유석 교수가 발표한 ‘리보솜 독성 스트레스 유발형 식품독소 신규 분자기구 규명’은 매년 교과부 연구·개발사업 성과 가운데 이공계기초연구, 인문사회연구, 국책연구 부문의 해당 분야에서 우수사례를 선정·발표하는 ‘2011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시상식에서 기초연구 부문 우수성과로 선정되는 쾌거를 거두었다. 문 교수는 “본 연구는 최근 전 세계를 강타한 대장균성 슈퍼박테리아와 같은 많은 식중독소류에 의해 단백질 합성 기구인 리보솜에서의 독성 스트레스 작용을 분석하여 이들이 특히 소화기 점막에서의 염증 및 종양화를 유발하는 과정을 분자적으로 최초로 명확하게 규명하였다”고 연구에 대해 설명했다.
리보솜이란 단백질을 합성하는 아주 작은 입자로서 살아 있는 모든 세포에 다수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유전자 암호에 저장된 정보를 단백질 분자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슈퍼박테리아와 같은 식중독소류가 리보솜과 결합해 인체단백질 합성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되는데서 연구가 출발한 것이다.작용기전적으로 일차적 노출되는 장관점막에서 식중독성 리보솜 독성 스트레스에 의한 분자병리조절연구는 효율적 백신개발 및 식중독성 저해제 개발에 있어 핵심적인 사안이다. 이에 대한 명확한 분자 위생 및 독성학적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식중독의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정확한 기반연구가 가능해진 것이다. 최종적으로 리보솜의 기능저해의 바이오모니터링을 통하여 농식품에서의 리스크평가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문 교수는 “본 연구는 리보솜독성 스트레스 반응에 의한 특이적인 타겟의 조절과 이에 의한 식품독소의 특이적인 염증반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혁신적인 연구논문이며, 식품안전성 분야뿐만 아니라 새로운 염증조절기전에 대한 면역학적인 지평을 여는데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또한 식품위해요소 및 바이오테러리즘 방어 전략의 핵심적인 생체조절인자로서 규명하였다”고 덧붙였다.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연구한 결과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었다”며 “연구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탐구에 대한 열정이 결국 과학기술 발전의 토대가 된다”고 피력하는 문유석 교수를 보며, 향후 그의 연구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으로 점막의 시스템적인 바이오모듈레이션 연구를 개척, 선도하며 과학강국 대한민국으로서의 위상을 떨치는데 앞장서는 모습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