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시대 열리나

당명 개정이 박 위원장에게 주는 의미

2012-02-02     정대근 기자

당명 개정 안건이 올라온 1월26일 당일까지도 개정안이 통과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확신할 수 없었다. 이날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된 탓에 자세한 상황은 알 수 없지만,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에 전언에 따르면 박 위원장은 당명 개정안을 보고받은 직후 “의결하는 걸로 하시죠”라며 마무리 지었다고 한다. 이에 따른 별다른 토론도 진행되지 않았다.

지난 2004년 박 위원장은 이미 당명 개정의견을 추진한 바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후폭풍으로 한나라당이 위기를 겪었던 2004년 총선 이후 당 개혁 차원에서 당명 개정을 추진했고 국민공모를 거쳐 3가지 안으로 압축하는 등 성사 직전까지 갔지만, 당시 수도권에 포진해 있던 쇄신파 의원들의 극렬한 반대로 접었던 것이다.

이에 박 위원장 측은 “당명 개정을 통해 쇄신의 의지를 천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라며 짤막한 코멘트로 당명 개정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대선을 염두에 둔 박근혜 위원장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는 풀이가 나오고 있다. 각종 권력형 비리의혹이 터져나오는 상황인지라 당장 총선에서조차 정권심판론을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와 여당이 아무리 분리되고 차별성을 강조한다고 해도 통상 둘을 묶어서 인식하는 대중의 특성상 극단적인 방법을 통해 차별성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이 곧 당명 개정이라는 주장이다. 즉, 현재의 ‘한나라당’은 이명박 정부를 의미하며, 개정된 새 이름은 총선과 대선을 정면돌파하게 될 ‘박근혜 호’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제 한나라당의 이전 명칭이었던 민주정의당은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의 당이라는 인식이 강했고, 이후 개정된 신한국당은 김영삼 전 대통령을 상징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현재 쓰고 있는 한나라당이라는 이름은 조 순 전 서울시장이 지은 것으로, 이회창 당시 대선후보의 시대를 위해 개정한 성격이 짙었다. 한나라당이 다시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자신의 시대를 열어야 하는 박 위원장에게는 탐탁찮은 이름일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