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화수한의원/주입산 원장
2005-10-24 글/주입산 원장
천식의 원인이 되는 물질과 주변 환경 조절이 필요
▲한방에서 보는 천식의 원인=한방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담(痰)으로 인한 천식이다. 체내에 담(痰)이 내재되어 있는데, 폐(肺)와 신(腎)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고, 외감(外感)이나 음식, 기후변화, 정신적 요인이 겸하였을 때 천식이 생긴다고 본다. 또 한가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천식을 발생시키는 내적인 소인(素因), 즉 체질적인 원인을 들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환자 개개인에 내재되어 있는 체질적인 요소와 폐(肺), 비(脾), 신(腎) 등 인체 장부의 기능저하 및 실조로 천식(喘息)의 병인을 찾고 있다.
▲한방의 치료원리에 대해=천식 치료의 원리는 무엇보다 평소 천식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나 환경을 피하도록 주변 환경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방 치료의 일차목표는 외부에 침범한 차가운 기운을 몰아내고 내부에 잠복하여 있는 담을 없애는 것이다. 그리고 환자 개개인에 따라 폐의 건강 뿐 아니라 폐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다른 요소도 살펴 보고 이런 점을 잘 다스려 줘야한다.
▲천식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치료방법=천식의 치료는 항염증요법과 기관지 확장요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한방에서는 항염증요법을 위해 활혈거어(活血祛瘀)의 효능이 있는 도인(桃仁), 단삼(丹蔘), 천궁(川芎), 수질(水蛭)과 같은 약물과 거담(祛痰)효능이 있는 백과(白果), 백개자(白芥子), 소자(蘇子), 반하(半夏) 등의 약물을 병증에 따라 선택하여 치료한다. 또 기관지를 확장시켜주고 기관지 경련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마황(麻黃), 행인(杏仁), 선퇴(蟬退) 등의 약물을 응용하기도 한다.
▲천식에도 좋은 음식이나 영양소=천식환자에게 있어서 가장 좋은 음식은 채소다. 천식환자가 꼭 피해야 할 것은 육류와 생선, 우유 등인데 이러한 음식물들은 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평상시 마늘, 푸른잎 야채, 과일, 여과하지 않은 꿀, 씨앗류, 곡류의 싹(콩나물 종류) 등을 많이 먹고, 식사는 콩류, 씨앗, 메밀 등과 같이 망간을 함유한 것을 위주로 한 것이 좋다. 그러나 설탕, 아이스크림, 정제가공식품은 절대로 피해야 한다. 천식에 효과가 있는 생즙이 있는데 귤이나 마늘의 생즙을 만들어 먹으면 좋다.
▲천식에 좋은 운동, 나쁜 운동요령에 대해=폐질환 환자는 증세의 심한 정도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는 양이 서로 다르다. 하루 10분씩 두 번 평지에서 걷는 것과 같이 쉬운 활동으로부터 시작해서 하루 30분씩 두 번 걷는 것으로 증가시킨 다음 언덕 오르기, 자전거 타기, 달리기와 같은 강한 활동을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중요한 건 운동은 매일 시행해야 한다는 것인데 지나친 운동은 금물이며 사실상 걷는 것과 같은 규칙적인 운동이 달리기와 같이 가끔 격하게 하는 운동보다 더 몸에 좋다. 주의해야 할 것은 날이 차거나 습기가 많을 때, 대기오염이 심한 때 등은 집안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더 낫다.
▲정상인이 천식을 의심해봐야 하는 경우=에어컨 등 찬바람을 쏘이거나 몸을 차게 하면 기침을 하는 경우, 뛰면 기침을 하고 숨이 차거나 별다른 이상이 없이 3주 이상 열없는 기침을 하는 경우, 아이스크림 등 찬 음료만 먹어도 기침을 하며 먼지, 냄새, 연기에 유난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 밤에 열은 나지 않지만 호흡이 곤란하며 감기에 자주 걸려 기침을 자주 하는 경우 등
▲흡연과 천식의 관계=흡연은 호흡기 점막에 자극을 주어 천식을 유발시킨다. 정상적인 기관지에는 원래 정화작용을 하는 섬모가 있는데, 흡연함으로써 가래가 많이 생기고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 능력이 저하되면 만성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이 잘 생기게 된다. 또 폐포에 산소 공급이 잘 되지 않아서 저산소 혈증이 생길 뿐 아니라 기도의 내면을 화농시켜서 기도의 내부가 두터워지기 때문에 자연히 좁아져서 공기가 폐에서 나올 때 장애를 받아 숨쉬는 데 고통을 받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