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김정은 체제 안착 위해 전력투구
김정일 사후 북한의 순탄한 권력이동 전폭 지원
미국의 유력일간지인 워싱턴포스트(WP)는 4일(현지시간) 중국이 북한의 김정은체제 안착에 전폭적인 지원을 보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WP는 북한의 권력구조 변화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목표에 변화를 가져다줬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WP 보도에 따르면 김정일 집권기에는 북한의 경제개혁이었던 중국의 대북 정책목표가 김정일 사후 북한체제의 안정 및 김정은으로의 원만한 권력이동으로 전환됐다고 했다. 북한 체제의 안정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으로 김정일 위원장 사망 직후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한-미-일-러 등 한반도 이해당사국들에게 전화를 걸어 "자극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또 후진타오 국가주석은 김정은이 최고사령관으로 추대되자 축전을 보내기도 했다.
WP는 중국의 이같은 움직임이 미국의 극동 전략과 맞물려 있다고 지적한다. 오바마 미 대통령은 미국을 "태평양 세력"으로 규정하고 중국의 인접국인 베트남, 버마와 관계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반도에서 최악의 경우 김정은 체제의 안착이 매끄럽게 이뤄지지 않아 북한체제가 무너지고 현 남한체제에 흡수통일 될 경우,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통일한국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이 오게 된다. 이에 중국은 북한을 완충지대화해 미국의 극동전략에 쐐기를 박기 위해 북한체제의 안정에 전력투구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렇지만 WP는 최근 중국의 움직임이 북한의 무리한 군사도발을 억제하는 한편 북한을 6자 회담에 복귀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김정일 사후 북한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방한한 커트 캠벨 미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중국에 북한의 군사도발에 억지력을 행사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