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한 北 김정일 국방위원장, 그는 누구?
"현 북한의 최고 권력자이자 실력자이며, 제1의 통치자"
지난 17일 사망한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북한의 정치가이자 국방위원회 위원장, 조선노동당 중앙원회 총비서,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정치국 상무위원, 최고인민회의 제 10기 대의원 등의 공식적으로 여러 직함을 가지고 있는 현 북한의 최고 권력자이자 실력자였다.
1970년대부터 김일성 주석의 후계자로 지목되다 1974년 공식적인 후계자로 확정된 김정일은 1994년 아버지인 김일성(金日成) 국가주석이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그 이후부터 공화국의 실제적인 제 1의 통치자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3, 4대 국가 수반인 김일성과 독립운동가 겸 공산주의자 김정숙의 첫째 아들로 태어난 김정일은 1941년 2월16일 태어났으며, 다소 엇갈린 주장들 속에 정확히 태어난 출생지에 대한 정보는 밝혀진 바가 없다.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측에서는 1942년 2월16일 량강도 삼지연군의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한·미·일·중의 학계나 소비에트 연방의 기록에서는 1941년 2월16일 당시 소비에트 연방 하바롭스크 지방 하바로프스크에서 동북쪽으로 70km 정도 떨어져 있는 작은 마을인 뱌츠코예에서 태어났고, 그의 러시아 식 이름은 유리이르세노비치었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출생당시 쌍둥이로 태어나 쌍둥이 동생인 김슈라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어릴 때 부친 김일성의 관사에서 놀던 중에 물에 빠져 익사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김 위원장의 이름은 여러 번의 개명을 거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의 처음 출생 시 이름은 김유리, 그 이후 학계나 소비에트 연방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러시아식 이름인 이르세노비치, 그리고 김정일(金正一). 17일 사망 전까지 사용하던 김 국방위원장의 이름은 한자만 개명한 김정일(正日)이다.
아버지 김일성, 어머니 김정숙을 따라 1945년 8·15해방 이후 귀국한 김 국방위원장은 유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러나 그가 일곱 살이 되던 해 난산 끝에 세상을 떠난 김정숙 때문에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한 채 불우한 유년기를 보냈다.
그의 조부인 김형직과 조모 강반석은 김 국방위원장이 태어나기 이전 사망했으나 증조부인 김보현과 증조모인 리보익은 그가 10대일 때까지도 생존하고 있었다고 보고되어 있다.
김정일은 김일성종합대학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61년 7월22일 조선노동당에 입당, 그 이후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과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등에 선거되었다. 1970년대부터 부친 김일성의 후계자로 지목돼 오던 김정일은 1974년 부터 공식적인 후계자로 확정, 1980년 제 6차 당 대회를 통해 후계구도를 공식화 하며 자리잡았다.
한편, 1994년 김일성 공화국 국가주석의 사망 이후 공화국의 실제적인 제 1통치자가 된 김정일은 경제적 상황이 매우 좋지 않았던 1993년 이후 6년간의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면서 무능력한 지도자로 비판을 받은바 있으며, 최근 10대 독재자 명단에 오르기도 했다.
또한 김정일의 건강약화에 대한 보도나 그의 후계자 구도에 대해 여러 외신들과 국가들이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얼마 전 김정일의 후계자는 김정은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로동당 총비서이시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이신 우리 당과 우리 인민의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라고 부른다고 알려지고 있다.
▲1941년 2월 = 백두산 밀영(양강도 삼지연군)서 김일성과 김정숙 사이서 출생. ※러시아 연해주 태생설도 있음
▲1945년 = 소련서 귀국
▲1950∼52년 = 중국 지린학원 유학
▲1961년 7월 = 노동당 입당
▲1964년 6월 = 당 조직지도부 지도원
▲1966년 = 당 조직지도부 책임지도원
▲1967년 5월 = 당 선전선동부 문화예술지도과 과장
▲1970년 =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1973년 6월 = 당 선전선동부 부장
▲1973년 9월 = 당 비서국 조직 및 선전담당 비서
▲1974년 2월 = 당 정치위원회 위원에 오르며 후계자로 확정
▲1980년 10월 = 제6차 당대회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 당 정치국 위원, 당 정치국 상무위원, 당 비서국 비서,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에 임명
▲1982년 = 김일성 주석의 나이와 30년 차이를 만들기 위해 생년을 1942년으로 변경해 선전
▲1982년 8월 = 최고인민회의 제7기 대의원(황해북도 송림)
▲1983년 = 중국 후야오방(胡耀邦) 당시 공산당 총서기 초청으로 후계자로서 첫 방중
▲1986년 11월 = 최고인민회의 제8기 대의원(함경남도 룡성)
▲1990년 4월 =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함경북도 무산)
▲1990년 5월 =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1991년 12월 = 당 중앙위원회 제6기 19차 전원회의서 군 최고사령관에 임명
▲1992년 4월 = 군 원수 칭호
▲1993년 4월 = 최고인민회의 제9기 5차 회의서 국방위원회 위원장에 추대
▲1997년 10월 = 당 총비서 추대
▲1998년 7월 =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제666호 선거구)
▲1998년 9월 = 국방위원장에 재추대
▲2000년 5월 = 북한 최고지도자로서 첫 방중
▲2003년 8월 =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제649호 선거구)
▲2008년 8월 = 뇌혈관계 질환으로 쓰러짐
▲2009년 3월 = 최고인민회의 제12기 대의원(제333호 선거구)
▲2009년 4월 = 국방위원장 재추대
▲2010년 9월 = 제3차 노동당 당대표자회서 당 비서국 총비서, 당 정치국 상무위원, 당 정치국 위원, 당 중앙위원회 위원, 당 중앙군사위원장에 임명
▲2011년 8월 = 러시아 극동지역 방문, 중국 방문
▲2011년 12월19일 = 17일 오전 8시30분 열차서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