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성식 정태근 탈당 계속되는 탈당 도미노
쇄신파 집단탈당으로 이어질 경우 박근혜 체제는 소용돌이 속으로?
한나라당이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 출범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당내 쇄신파 김성식, 정태근 의원의 탈당선언으로 혼돈에 휩싸였다.
13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탈당 의사를 확고히 밝힌 정태근 의원은 “오늘로써 한나라당을 떠난다”며 “낡은 보수와 무책임한 진보가 정파적 이해만 갖고 대립하고 있는 현 정치가 바뀌기를 간절히 바랐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 절망했다”고 전했다. 또한 “더 이상 이런 낡은 구조를 온존시켜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탈당을 결심했다”며 탈당의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같은 쇄신파 김성식 의원도 같은 날 ‘조건부 탈당’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어 “전국위원회에서 신당 수준의 재창당을 하겠다는 당헌 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자신은 허허벌판으로 나가 정치의병이 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가운데 14일 MBC라디오에 출연해 전날 탈당에 대한 속내를 밝힌 김성식 의원은 “쇄신파 의원들 중에서 자신이 정치하는 존재 이유를 걸고 이 상황에서 계속 당에 머무를 수 있을지 고민하는 분이 몇 분 있다”며 추가 탈당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탈당은 현재와 같은 여야 구도에서 살아남기 위한 길이라기보다는 죽어나가기 위한 길”이라고 정의하며, “완전한 새것이 아닌, 그저 낡은 모습의 연장선상인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기웃거리지 않을 것”임을 확고히 강조했다.
또한 “재창당을 포함하는 전면적 쇄신보다는 단순히 권력이동에만 관심있는 일부 친박계가 현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비난하며 “단순히 친이계에서 친박계로의 권력이동이 국민에게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탈당을 전격 선언한 정 의원과 김 의원은 ‘재창당을 통한 신당 창당을 하는 것이 유일한 살길’이라며 ‘당 해산 후 재창당’을 계속해서 주장해 왔지만 친박 대다수 의원들이 재창당 불가 입장을 밝히며, 거부 움직임을 보여 온 것에 비판을 감추지 못해 결국 탈당이라는 카드를 전면에 꺼낸 것으로 풀이 된다.
김 의원이 밝힌 대로 탈당을 고민하고 있는 쇄신파들의 추가 탈당선언이 있을 경우 한나라당은 그야말로 분당의 위기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거세게 나오는 쇄신파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당 내 주류인 친박계가 재창당에 반대하고 있으며, 박 전 대표 중심의 비대위 출범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박근혜 체제는 출범 전부터 큰 위기에 봉착했으며, 두 쇄신파 의원의 탈당이 집단탈당이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번져나갈 경우 박근혜 체제는 큰 소용돌이 속으로 빨려 들어갈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