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20일 오전 서울 중구 코리아나 호텔에서 3개 카드사 대표가 고개숙여 사죄하고 있다. 왼쪽부터 손병익 농협카드 부사장, 박상훈 롯데카드 사장,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 | ||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고에 책임을 지고 KB금융, NH농협카드 등 금융사 경영진의 퇴진이 도미노처럼 어지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20일 이건호 국민은행장과 심재오 국민카드 사장을 비롯한 KB금융의 주요 임원들이 임영록 회장에게 사표를 제출했다.
KB금융지주에서는 부사장, 전무, 상무 등 모든 집행 임원이 사의를 표명했다. 국민은행은 이건호 행장을 비롯한 부행장 급 이상의 모든 임원, 국민카드는 심재오 사장을 포함한 상무 이상의 모든 임원이 사표를 제출했다. 이들의 사퇴 여부는 조만간 이사회를 통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KB국만카드에서는 이번 고객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한 카드사 중 최대 규모의 정보 총 4,320만 건이 새어나갔다. 이 정보에는 1,000만 건 이상의 은행 고객 정보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나 금융지주 전체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KB국민카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정보가 유출된 농협카드의 경영진도 사퇴 의사를 표명했다.
NH농협은행 손경익 카드부문 사장이 고객정보 유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자진 사퇴 의사를 표시하자 김주하 행장이 이를 수용했다고 20일 밝혔다.
손 사장이 사퇴함에 따라 고객정보 유출 이후 운영하던 비상대책위원회의 지휘봉은 김 행장이 맡게 됐다. 비대위는 이번 정보 유출 사태를 신속하게 수습하고 재발방지 및 정보보안 강화를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농협은행은 후임 농협카드 사장으로 이번 사태의 조기 수습과 고객신뢰 회복에 적합한 전문가를 찾아 선임할 계획이다.
롯데카드 임원진도 고객 정보 유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박상훈 사장을 비롯한 롯데카드 임원 9명은 이날 오후 고객정보 유출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이유로 이사회에 사의를 표명했다.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등 카드사들이 최근 정보 유출 사고로 피해를 입은 고객들에 관한 자료를 정리한 결과, 유출 사실을 통보해야 할 대상은 총 8,245만 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카드사별로는 KB국민카드가 4,320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NH농협카드는 2,165만 명, 롯데카드가 1,760만 명으로 조사됐다.
한편 카드사 고객정보를 유출한 외주 직원이 소속된 개인신용정보업체 코리아크레딧뷰로(KCB)도 김상득 대표이사를 비롯한 6명의 임원 전원이 사표를 제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