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동도, 서도와 주변바위 89개로 나뉘어져 있다. 특히 서도의 대한봉과 물골 동도의 우산봉과 천장굴과 함께 16개의 주변바위가 국가지명위원회의 오랜 심의 끝에 2012년 10월29일 공식적인 바위이름을 갖게 되었다. 생성연대나 면적이 울릉도 보다 최소 배 이상의 거대한 해저산으로 동해에서 바라보면 오른편이 서도이고 왼편이 동도다.
서도의 풍수적 기상
■용장배진형/龍將背陣形

동도 정상에서 서도를 바라보면 왼편에 촛대바위와 오른편에 탕건봉이 있다. 서도의 최고점인 대한봉의 중앙에서 뻗어 내려 온 끝자락을 자세히 보면 해면 위로 고개를 내민 얼핏 거북이 같기도 한 모양이 나타나는 바위가 있는데 총체적인 기세를 봐서는 대한봉을 등에 업은 뚜렷한 용머리 형상으로 머리 위로 척목 혹은 보주로 상징되는 뿔이 돋고 비늘과 지느러미가 있는 몸통부분이 일부 드러나 있다. 독특하게 생겨서 장군바위 혹은 권총바위라고도 불리는 촛대바위는 한편으론 창이나 칼의 모양을 보이고 있다. 두건을 쓴것 같다 해서 붙여진 탕건봉은 엄지바위라고도 불리며 투구를 쓴 장군의 형상이기도 하다.
대한봉을 비롯한 서도 전체와 촛대바위, 탕건봉, 그리고 참모로 보이는 삼형제 굴바위와 주변의 크고 작은 바위로 도열하는 군사들을 합쳐서 용장배진형이라 할 수 있다. 즉 용과 장군이 수호무기를 들고 참모 및 군사들과 함께 우리나라 동해를 동도 뒤에서 든든하게 지키고 있는 형국이 되는 것이다. 龍은 봉황, 기린, 거북과 함께 영험하고 고귀한 4령(靈)의 동물로 상징되는 상상의 동물이다. 그러나 실존하는 어떤 동물보다도 용은 최고의 권위를 가진 최상의 동물이기도 하다. 용은 다른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모두 간직하였으며 무궁무진한 삼라만상의 조화 능력도 가지고 있는 영물로 전해져 온다.
동도의 풍수적 기상
■영구청운형/靈龜靑雲形

거북은 장수長壽를 상징하는 영험한 생명체로써 신화와 전설상에 자주 등장하는 동물이다. 용과 함께 거북은 기린·봉황과 더불어 4령의 고귀한 영물로 상징된다. 옛 기록에 의하면 1,000살 먹은 거북은 사람과 이야기 할 수 있고 털이 난다고 하는 전설도 있다. 5,000살 먹은 거북을 신귀神龜라 하고, 1만 살 먹은 거북을 영귀靈龜라고 한다.
독도 전체를 합친 풍수적 기상
■용구수호형/龍龜守護形

“실제로 고기 및 오징어 잡이를 위해 독도 바깥으로 멀리 나갔다 올때 동해에서 서서히 진입하면서 바라보는 동도와 서도의 느낌은 참 신비스럽다라는 생각과 함께 일반 섬과는 다른 중압갑을 느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동도와 서도에서 아마 신령스러운 거북이의 거대함을 느꼈고 해신으로서 용의 신비함도 느꼈으리라 봅니다.”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큰 파도치는 날이나 동해 일출시나 저녁 일몰 노을 때의 붉고 형형한 독도의 기세나, 안개 덮인 어스름 저녁 혹은 달 밝은 밤에 서도와 동도의 형상을 바라본다면 거북이나 용 이상으로 참으로 신비롭고 웅장한 기세를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쌍구관포형/雙龜觀包形
뒤에서나 좌, 우측 측면에서 보면 두 마리의 거대한 거북이가 어린 새끼들과 함께 당당하게 헤엄쳐 나아가는 형국으로 때가 되면 동해를 넘어서는 쌍구관포형으로써 세상을 널리 헤아리며 포용包容하는 창조와 번영의 큰 기상도 함께 잠재 되어 있다.
독도 주변바위의 풍수적 기상
국가지명위원회에서 공식 지정한 독도 주변 바위는 서도 주변과 동도 주변으로 크게 나누고 형상과 서식지 그리고 기능 및 생활상 등으로 세분화 되어있다. 이 중 동도의 안용복 장군바위는 비공식 바위명이며, 필자가 창안한 동도의 성인바위와 서도의 용머리 바위 또한 비공식 바위명이다.
사람형상으로는 얼굴바위(탈인망해형), 탕건봉(상장위립형), 상장군바위(수군사열형)와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은 성인바위(성인담세형)와 부처가 좌불하고 있는 형상을 가진 보찰바위(나가대정형) 등이 있으며, 동물 형상으로는 코끼리바위(서상음수형), 닭바위(흑계포란형), 용머리바위(용두출수형) 등이 있다. 그리고 전설속의 동물인 해태가 서도의 용을 보좌하는 형국의 삼형제굴바위(해치보룡형)가 있으며, 천연식수원으로 주변의 모양이 여성의 심혈로 나타나 옥녀가 물을 머금고 있는 형국의 물골(옥녀함수형, 천장지비형))과 사물형으로는 군함바위(함적귀항형). 넙덕바위(방파제지형), 춧발바위(유구추모형), 독립문바위(선진입문형), 우리나라 지형을 닮은 한반도바위(대한민국형), 촛대바위(용장게창형)등이 있다.
